장기전세주택 임대조건 분석: 전세금, 인상률, 거주기간

🟢 월세 없는 ‘전세형’ 공공임대

장기전세주택은 민간임대처럼 매달 월세를 내는 구조가 아닙니다.
처음 전세보증금을 내면, 추가적인 월세 부담 없이 최대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어요.

🔍 SH공사 기준, 전세금은 주변 시세의 80% 이하로 책정
예를 들어, 민간 전세가 4억 원이라면 → 장기전세는 약 3.2억 원

궁금한 글 먼저 읽기
1편 : 장기전세주택 최신 변경사항 2025년 하반기 업데이트
2편 : 청약저축 통장 있어야 할까? 장기전세 vs 일반 청약 비교
3편 : 서울 장기전세주택 공급단지 2025: 지역별 현황 정리
4편 : 장기전세주택 소득별 순위제도 완벽 이해하기
5편 : 장기전세주택 임대조건 분석: 전세금, 인상률, 거주기간
6편 : 장기전세주택 신청방법: 인터넷·현장접수 절차 가이드
7편 : 장기전세주택 자격요건 2025: 소득·자산 기준 완벽 정리
8편 : 장기전세주택 총정리: 조건부터 청약까지 한눈에

💸 임대료 인상률은 ‘5% 이하’ 제한

거주 중이라도 매년 임대료가 막 오르지 않습니다.
서울시 조례에 따라, 연간 임대료 인상률은 최대 5%로 제한됩니다.

구분내용
최초 계약2년 단위 계약
재계약 가능 여부무제한 재계약 (최장 20년까지)
임대료 인상연 5% 이내 (SH·LH 동일 적용)

💡 민간 임대보다 훨씬 안정적인 조건으로 장기 거주 가능


⏳ 계약기간 & 장기거주 구조

장기전세는 기본 2년 계약 → 2년마다 자동 연장 가능,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속 재계약이 허용됩니다.

항목내용
1회 계약기간2년
최장 거주 가능 기간20년
재계약 조건무주택 유지 + 자격 변동 없음
퇴거 사유자산 초과, 소득 초과, 무단 미입주 등
📄 SH 전세 재계약 조건 보러가기

🧾 실제 전세보증금 예시 (2025년 기준)

서울시 강서구 기준, 전용 59㎡ 아파트 예시

항목민간 시세장기전세 보증금
주변 전세 시세4억 5,000만 원
장기전세 시세(80%)약 3억 6,000만 원
차액약 9,000만 원 절감

☑ 월세 없음 + 인상률 제한 → 장기 거주자에겐 유리한 조건


💬 전세자금 대출 병행 가능?

보증금이 부담될 경우,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또는 청년전세자금 대출과 병행할 수 있습니다.
단, 장기전세는 전세권 설정이 어려운 구조라 → 대출 승인 여부는 은행마다 상이

❗ 대출을 통해 보증금을 마련하려면, SH공사 측에 사전 문의 필수


📌 장기전세 vs 일반 전세 비교표

항목장기전세일반 전세
전세금 수준시세의 80% 이하시세 100%
월세 부담없음없음 (전세인 경우)
임대료 인상연 5% 이하 제한제한 없음
계약 기간2년 단위, 최장 20년2년 단위, 재계약 불확실
주택 소유권SH·LH 등 공공 소유민간 소유
📝 장기전세주택 신청자격 보러가기

✅거주 안정성과 경제성 모두 잡으려면

장기전세는 단기적으론 전세보증금 마련이 부담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임대료 상승 걱정 없이 10~20년 거주 가능한 매우 안정적인 옵션입니다.

청년 1~2인 가구라면,
1) 주거비 걱정 줄이기 + 2) 분양청약 기회도 유지하는 이중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글에서는 소득·청약저축에 따른 순위제도를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 다음 글 보기

장기전세주택 소득별 순위제도 완벽 이해하기

신고하기

이 블로그 검색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