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기전세는 ‘순위’로 당락이 결정된다
장기전세는 누구든 신청만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소득·청약저축 가입기간·거주지역 등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집니다.
단지마다 경쟁률이 높기 때문에, 1~2순위에 해당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 면적별로 기준이 다릅니다
공급되는 전용면적에 따라 적용 기준이 다르게 분류되니
신청 전에 자신이 지원하려는 면적에 맞는 순위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전용면적 | 순위 조건 기준 |
---|---|
50㎡ 이하 | 소득 + 거주지역 (자치구 기준) |
50~60㎡ 이하 | 청약저축 가입 기간 + 납입 횟수 |
60~85㎡ 이하 | 청약저축 중심 (소득은 조건 아님) |
85㎡ 초과 | 청약예금 중심 (청약저축 불인정) |
💸 소득 기준 구간 (2025년 기준)
가구원수 | 소득 70% 이하 | 소득 100% 이하 |
---|---|---|
1인가구 | 2,518,715원 이하 | 3,598,715원 이하 |
2인가구 | 3,833,902원 이하 | 5,477,003원 이하 |
3인가구 | 5,338,881원 이하 | 7,626,973원 이하 |
❗ 대부분의 청년 단독 세대주는 70% 이하 기준에 속하지 못할 수 있으니, 청약저축 납입 기준을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
📝 면적별 순위 조건 상세표
🔸 전용 50㎡ 이하 (건설형 기준)
순위 | 조건 |
---|---|
1순위 | 소득 70% 이하 + 해당 자치구 또는 연접 자치구 거주 |
2순위 | 소득 70% 이하 + 타 지역 거주 |
3순위 | 소득 70~100% 이하 + 해당 자치구 거주 |
4순위 | 소득 70~100% 이하 + 타 지역 거주 |
🔸 전용 60㎡ 이하 (건설형 기준)
순위 | 조건 |
---|---|
1순위 | 청약저축 2년 이상 + 납입 24회 이상 |
2순위 | 청약저축 6개월 이상 + 납입 6회 이상 |
3순위 | 청약저축 6개월 미만 또는 미가입 |
4~6순위 | 소득 70~100% 초과자, 청약 미가입자 등 |
✅ 청약저축은 미가입자도 신청 가능하지만, 순위가 가장 낮음
🔸 전용 60~85㎡ 이하
-
소득 기준 없음
-
청약저축 가입기간 중심
-
1순위: 2년 이상 + 24회 이상
-
2순위: 6개월 이상 + 6회 이상
-
3순위: 그 외
-
🔸 전용 85㎡ 초과
-
청약저축은 인정되지 않음
-
청약예금 가입 1년 이상
-
지역별 예치금 충족 필요 (예: 강남구는 2년 이상 보유 조건)
👤 청년 사례로 보는 당첨 가능성
사례 ①
-
29세 직장인 / 월소득 270만 원 / 서울 마포구 거주
-
청약저축 2년 + 28회 납입 → 60㎡ 이하 신청 시 1순위 가능
사례 ②
-
31세 프리랜서 / 연소득 4500만 원 / 청약저축 없음
→ 소득 100% 이내라도 3~6순위 밀림 → 경쟁 시 불리
🎯 전략적 신청 팁
-
청약저축 무조건 가입하세요
가입만 해도 2~3순위까지 가능, 단 납입은 정기적이어야 인정 -
본인 소득이 소득 70% 미만이면 가장 유리
(단, 기준은 가구당이며 1인가구 기준도 따로 있음) -
거주지=자치구 기준
해당 단지가 위치한 자치구 또는 인접 자치구에 거주할수록 우선순위 상승
✅ 순위는 ‘입주 가능성’ 그 자체
장기전세주택은 신청자보다 공급이 적기 때문에,
몇 순위에 해당하느냐가 곧 당첨 가능성을 결정합니다.
청약저축 + 소득요건 + 거주지역 조건을 잘 갖춘다면
20~30대 청년도 충분히 상위 순위로 당첨 가능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 다음 글에서는 서울 지역별 장기전세 공급 현황과 인기 단지를 안내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