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장기전세주택 공급단지 2025: 지역별 현황 정리

🗺️ 2025년 공급 흐름 간단 정리

서울시 장기전세주택은 SH공사·서울시 주도로 연간 수백 호 규모로 공급되며,
공급 일정은 수시 공고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2025년에도 강남·강서·강북 주요 권역 중심으로 신규 및 잔여세대 공급이 진행 중입니다.

📌 1회 모집공고 시 1~3개 단지를 묶어 공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궁금한 글 먼저 읽기
1편 : 장기전세주택 최신 변경사항 2025년 하반기 업데이트
2편 : 청약저축 통장 있어야 할까? 장기전세 vs 일반 청약 비교
3편 : 서울 장기전세주택 공급단지 2025: 지역별 현황 정리
4편 : 장기전세주택 소득별 순위제도 완벽 이해하기
5편 : 장기전세주택 임대조건 분석: 전세금, 인상률, 거주기간
6편 : 장기전세주택 신청방법: 인터넷·현장접수 절차 가이드
7편 : 장기전세주택 자격요건 2025: 소득·자산 기준 완벽 정리
8편 : 장기전세주택 총정리: 조건부터 청약까지 한눈에

🏙️ 권역별 공급 현황 요약 (2025년 상반기 기준)

서울시는 입지별로 수요에 따라 건설형/매입형 장기전세를 유동적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청년·신혼부부 중심으로 접근성이 높은 지역에 우선 배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강서권 (강서구·양천구·영등포구)

단지명주소면적(㎡)특이사항
마곡엠밸리강서구 마곡동59~84㎡청년 수요 높음, 지하철 9호선 인접
우장산힐스테이트강서구 화곡동59㎡상시 공급 단지

→ 직주근접 + 전세가격 상승세 지역으로 경쟁률 높음


🔹 강남권 (송파구·서초구)

단지명주소면적비고
위례신도시A1-5송파구 장지동59~85㎡중대형 공급 중심
잠실엘스 잔여세대송파구 신천동59㎡공급 드물며 청약경쟁 심함

🔺 강남권은 청약예금 필요 조건 주의 (85㎡ 초과 신청 시)


🔹 강북권 (성북구·도봉구·중랑구)

단지명주소면적비고
북서울꿈의숲 두산성북구 장위동59㎡자연환경 우수, 1인 가구 선호
방학동 롯데캐슬도봉구 방학동59㎡버스 환승 편리, 공급주기 짧음

소득 70% 이하 청년 우선 공급 비율 높은 지역


🔹 동남권 & 기타

  • 고덕강일4단지 (강동구 강일동)
    2025년 상반기 대규모 신규 공급 (SH 발표 기준)

  • 항동지구 (구로구)
    → 2025년 하반기 예정, 공공분양과 혼합 단지로 청약 유리


🔍 청년 선호도 높은 지역 Top 3

  1. 강서구 마곡

    • 업무지구 인접 + 교통 편의

    • 전세 시세 상승 대비 가장 유리한 지역

  2. 송파구 위례신도시

    • 신규 단지 다수 공급

    • 상대적으로 보증금 부담 있음

  3. 성북구 장위동 일대

    • 도심 접근성 높고 공급주기 짧아 도전 기회 많음


📅 공급 일정은 수시 공고

장기전세는 정기모집이 아닌 ‘수시 공고형’입니다.
즉, 공고가 올라오는 시점에 신청을 준비해야 하며, 마감도 빠릅니다.

❗ 지난 공고 기준 접수 기간: 약 5일 내외
❗ 입주자 모집공고는 공고일자 기준 서류만 유효


📌 공고 확인 경로 3가지

경로설명
SH공사 홈페이지https://www.i-sh.co.kr → [주택공급] 메뉴
서울주거포털https://housing.seoul.go.kr
네이버 부동산 > 공공임대 탭
📄 오늘 기준 모집 중인 공고 확인하기 

✅ 지역 전략이 당첨 확률을 바꾼다

장기전세는 신청 시기가 같아도 지역마다 경쟁률이 크게 차이 납니다.
보증금 부담, 직장 접근성, 순위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본인에게 맞는 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당첨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장기전세와 일반 청약의 전략적 차이를 분석해드립니다.


📍 다음 글 보기

청약저축 통장 있어야 할까? 장기전세 vs 일반 청약 비교

신고하기

이 블로그 검색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