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첨 문자만큼 짜릿한 순간이 서류 제출 대상자 발표입니다. “이번엔 내가 걸릴까?” 하는 불안, 저도 여러 번 겪었죠. 다행히 요즘은 LH청약플러스 안의 ‘자산·소득 계산기’를 돌려 미리 조건을 가늠한 뒤 제출 여부를 거의 맞춰왔어요. LH청약 단계별 가이드 실제로 써 본 방법을 단계별로 풀어볼 테니, 이번엔 주저 없이 통과해보세요
1단계 — LH청약 단계별 가이드로 자격 셀프진단
-
공고 클릭→ “소득계산방법”: 모든 공고 페이지 우측에 숨은 버튼입니다. 주민등록·건강보험료·자동차 시세만 넣으면 10초 만에 “제출 대상 가능성”을 알려줘요.
-
2025년 기준 총자산 3억3,700 만 원, 자동차 3,803 만 원 이하: 계산기는 이 상한을 자동 반영합니다.
-
소득은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70 ~ 100 % 범위: 가구원 수별 금액이 표로 뜨니 건강보험료만 확인하면 끝!
2단계 — 서류제출 대상 2차 필터, 발표 일정 따라잡기
최근 행복주택 예비입주자 모집은 접수 8일 뒤 ‘서류제출 대상자’ 발표, 곧바로 3~5일 안에 온라인 제출 기간이 열렸습니다.
-
발표일+1일: 주민등록등본, 소득금액증명 발급
-
발표일+2일: 금융자산 내역 다운로드
-
발표일+3일: LH 온라인 업로드(공동인증서 필요)
3단계 — 자산·소득 계산기 완전 활용법
입력 항목 | 팁 | 오류 방지 |
---|---|---|
건강보험료 | 3개월 평균 납부액 | 선택급여·상여 포함치 확인 |
자동차 시가 | 자동차365 “중고차 시세” 링크 | 장애인·저공해차 감면 체크 |
금융자산 | 예·적금·주식 잔액 | 마이데이터 연동으로 자동산출 |
실전 메모 – 프리랜서는 원천세 3.3 % 떼인 지급명세서까지 합산되니, 홈택스 소득금액증명에 없는 수당은 미리 따로 계산기에 입력하세요.
4단계 — 제출 직전 체크리스트
-
계산기 출력값 캡처(스크롤 포함)
-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PDF
-
자동차등록증 스캔
-
주식·펀드 잔고 화면 캡처
이 네 장만 준비해도 ‘추가 서류 요청’ 경험이 확 줄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LH청약 서류제출 대상자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A1. 발표일 오전 10시 LH청약플러스 ‘당첨/낙찰자’ 메뉴에서 주민번호 뒷자리 입력만으로 바로 뜹니다.
Q2. LH청약에서 소득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A2. 건강보험료 3개월 평균×1.059를 월소득으로 간주하며, 사업·기타소득은 홈택스 지급명세서 합산 후 계산기에 추가하면 됩니다.
Q3. LH청약 서류 미제출 시 어떻게 되나요?
A3. 기한 내 미제출하면 ‘부적격’ 처리돼 당첨이 취소되고 1년간 같은 유형 청약이 제한됩니다.
오늘 가이드대로 캘린더만 세팅해 두면, 발표 날에도 손이 떨리지 않습니다. ‘계산기→캡처→서류 업로드’ 루틴을 익히고 LH청약 단계별 가이드로 당당히 다음 단계에 올라가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