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청약 특별공급·우선공급 A to Z – LH청약 유형별 혜택 비교

LH청약 특별공급·우선공급 A to Z – LH청약 유형별 혜택 비교

 안녕하세요, 집 마련을 준비하는 여러분!

제가 겪어본 바로는 LH청약의 특별공급과 우선공급 제도가 워낙 세부 유형이 많아서, 내게 유리한 조건을 놓치기 쉬운데요.
어떤 계층이, 어떤 소득 기준으로, 얼마나 많은 물량을 받는지 정확히 아는 게 관건입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특별공급·우선공급의 최신 기준을 한눈에 파악해, 내 상황에 딱 맞는 청약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거예요!

특별공급(공공분양) A to Z

  • 정의 & 주요 대상
    다자녀가구, 신혼부부, 생애최초 주택구입, 노부모 부양, 국가유공자, 청년·신생아 등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계층에게 우선 배정되는 제도입니다

  • 소득 기준 예시

    • 다자녀 특별공급: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20% 이하(본인·배우자 모두 소득 있으면 130% 이하)인 자에게 우선공급

    • 신혼부부 특별공급 우선공급: 외벌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맞벌이는 120% 이하인 분 

  • 물량 배정 비율
    공공분양 전체 물량의 프로젝트별로 70~90%가 특별공급으로 배정되며, 일반공급(10~30%)보다 훨씬 높은 편입니다

우선공급(통합공공임대) A to Z

  • 정의 & 주요 대상
    차상위계층, 신혼부부·다자녀·생계급여수급자·국가유공자 등에게 공공임대주택 입주 우선권을 주는 제도입니다. 영구·국민·행복주택이 모두 통합된 기준을 적용합니다.

  • 통합 소득 기준
    우선공급: 가구당 월평균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100% 이하 (1인 가구 +20%p, 2인 가구 +10%p 적용)

  • 국민임대주택 면적별 소득 기준

    • 50㎡ 미만: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70% 이하(우선공급은 50% 이하) 

    • 50~60㎡: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70% 이하, 당해지역 거주자 우선공급 

    • 60㎡ 초과: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100% 이하, 당해지역 거주자 우선공급 

  • 주거·비용 혜택
    보증금·임대료가 주변 시세의 60~80% 수준이며, 기본계약 2년씩 재계약해 최장 30년 거주할 수 있습니다

유형별 혜택 비교 포인트

  • 경쟁률
    특별공급은 유형별 물량이 분리돼 경쟁률이 낮고, 우선공급은 통합 물량 안에서 중위소득 기준만 충족해도 별도 배정되니 당첨 확률이 높습니다.

  • 소득 한도
    특별공급은 유형별 소득 상한이 다릅니다 (다자녀 120%·맞벌이 200% 이하, 신혼부부 100%·맞벌이 120% 이하 등), 우선공급은 전 가구 일괄 중위소득 100% 이하로 단일 적용됩니다 .

  • 거주 안정성
    분양주택 특별공급은 분양전환 시 우대 조건이 있고, 통합공공임대 우선공급은 매 2년 재계약 시 우선권이 유지돼 최장 30년 장기간 안심 거주가 가능합니다.

  • 실전 팁
    모집공고 뜨자마자 자격요건·소득 기준을 빠르게 확인하고, 유사 조건 지원자들이 몰리기 전에 바로 청약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LH청약에서 신혼부부 특별공급 우선공급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1. 외벌이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 맞벌이는 120% 이하인 신혼부부가 우선공급 대상입니다

Q2. LH청약 특별공급에는 어떤 구분이 있나요?
A2. 신혼부부·생애최초 주택구입·다자녀·노부모 부양·국가유공자·신생아 우선공급 등으로 세분돼 있으니, 모집공고에서 해당 유형을 꼭 확인하세요


이제 여러분도 특별공급·우선공급의 소득 기준과 물량 배정 방식을 정확히 파악하셨을 거예요.
모집공고를 꼼꼼히 들여다본 뒤 자신에게 유리한 유형에 바로 도전해 보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프로필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