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임대주택 총정리: 자격부터 신청까지 한눈에

 국민임대주택이란?

국민임대주택은 정부가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장기간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주로 소득이 낮은 무주택 저소득층(소득 1~3분위)을 대상으로 하며, 임대 기간은 최대 30년까지 보장됩니다.

공급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공사가 주체가 되며, 입주는 청약을 통해 선발된 자격자만 가능합니다.

궁금한 글 먼저 읽기
1편 : 국민임대주택 총정리: 자격부터 신청까지 한눈에
2편 : 국민임대주택 자격조건 2025: 소득·자산 기준 정리
3편 : 국민임대주택 신청방법: 인터넷·방문 절차 안내
4편 : 국민임대주택 소득기준 계산법과 주의사항
5편 : 국민임대주택 입주 우선순위: 순위별 기준 총정리
6편 : 국민임대주택 공급지역 2025: 지역별 계획과 물량
7편 : 국민임대주택 입주 후기: 실제 거주자 경험 모음
8편 : 국민임대주택 최신 소식 모음: 신청일정·기준 변경 업데이트

자격요건: 소득·자산 기준 확인

2025년 기준 국민임대주택의 주요 입주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LH, 국토교통부 – 2025년 6월 기준)

구분기준
무주택 세대주 여부반드시 무주택 세대주여야 함
소득 기준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 (3인 가구 기준 약 410만 원)
자산 기준총자산 3.29억 원 이하, 자동차 3557만 원 이하
우선공급고령자, 장애인, 한부모가구, 다자녀 가구 등

📌 소득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며, 청약 시 소득 증빙 자료(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등) 제출이 필수입니다.

 신청 절차: 어디서, 어떻게?

  1. 청약 공고 확인:

  2. 온라인 신청: 공고에 명시된 기간 내에 인터넷 또는 현장접수 진행

  3. 서류 제출: 자격검증을 위한 증빙 서류 등록

  4. 당첨자 발표 → 계약 체결 → 입주 대기

신청은 지역별로 시기와 방식이 상이하므로 반드시 해당 공고문을 세부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공급지역 및 일정 (2025년 상반기 기준)

  • 수도권: 하남 감일, 고양 지축, 인천 계양 등

  • 지방권: 부산 명지, 대전 도안, 세종시 일부 지역

2025년 하반기 이후 신규 공급 계획은 국토교통부 하반기 공고(예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지자체와 LH 홈페이지에서 지역별 공급계획을 확인해야 합니다.

입주 우선순위 기준

청약 경쟁이 발생할 경우 아래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됩니다.

우선순위조건
1순위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보호대상 한부모가구
2순위월평균 소득 50% 이하 가구
3순위그 외 자격 충족자

같은 순위 내에서는 청약저축 납입 횟수, 부양가족 수, 청약 순위일자 등으로 세분화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임대료는 얼마인가요?
→ 시세의 60~80% 수준이며, 지역과 주택 면적에 따라 상이합니다. (예: 59㎡ 기준 월 20~30만 원대)

Q2. 임대기간이 끝나면 퇴거해야 하나요?
→ 일반적으로 재계약은 가능하며, 자격을 상실하지 않으면 최대 30년까지 거주 가능합니다.

Q3. 청약저축이 꼭 있어야 하나요?
→ 예. 국민임대주택은 청약저축 가입자만 신청 가능하며, 순위 결정에도 영향을 줍니다.


👉 지역별 청약 공고 확인하러 가기

👉 자산/소득 기준 계산기 이용하기
👉 다음 글 보기: [국민임대주택 자격조건 2025: 소득·자산 기준 정리] → (클릭 시 이동)

신고하기

이 블로그 검색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