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 차이점 비교

둘 다 공공임대인데, 뭐가 다른가요?

많은 분들이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을 혼동합니다.
하지만 두 제도는 대상도, 임대조건도, 목적도 다릅니다.

📌 요약: 영구임대는 ‘복지성격’, 국민임대는 ‘중간소득층 주거 안정’

궁금한 글 먼저 읽기
1편 : 영구임대주택 조건 총정리
2편 : 영구임대주택 신청 자격 이렇게 확인하세요
3편 : 영구임대주택 신청 절차, 단계별로 정리했어요
4편 : 고령자·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임대주택 안내
5편 : 영구임대주택 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얼마일까?
6편 : 서울·경기지역 영구임대주택 공급 위치 모음
7편 :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 차이점 비교
8편 : 2025년 영구임대주택 모집공고 최신 일정

핵심 차이 요약표

항목영구임대주택국민임대주택
대상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중위소득 70% 이하 무주택자
임대료시세의 약 30%시세의 약 60~80%
보증금수백만 원 수준수백만~수천만 원 수준
계약 기간2년 단위 갱신 (실질상 무기한)2년 단위 갱신, 최대 30년까지 가능
우선 공급고령자, 장애인 등신혼부부, 청년, 다자녀 등
주택 면적26~46㎡ 소형 위주36~59㎡ 중소형 위주
제공 기관LH, SH, 지자체LH, SH, 지자체

어떤 상황에 어떤 임대가 더 적합할까요?

▶ 이런 경우는 영구임대주택이 더 적합해요

  • 소득이 매우 낮고,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인 경우

  • 고령자, 장애인, 한부모가정 등 주거복지 우선 대상인 경우

  • 장기간 안정적인 주거지가 필요한 경우

▶ 이런 경우는 국민임대주택이 더 적합해요

  • 일정한 소득이 있으나 전세·월세가 부담되는 중소득층

  • 신혼부부, 청년, 3인 이상 가구

  • 좀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한 경우

FAQ

Q1. 두 임대주택 모두 중복 신청할 수 있나요?
A. 동일한 시기에는 중복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공급 유형별로 1개만 선택 가능합니다.

Q2. 영구임대에서 국민임대로 옮길 수 있나요?
A. 가능은 하나, 소득이나 자산이 올라간 경우 재심사 후 국민임대 신청이 가능합니다.

Q3. 국민임대는 언제쯤 당첨되나요?
A. 공급 물량이 많고 경쟁률도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은 수개월 내 입주 가능하기도 합니다.


내 상황에 맞는 임대주택, 지금 비교해보세요

🔗 LH 공공임대주택 비교 안내
🔗 복지로 주거급여 가이드

신고하기

이 블로그 검색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