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임대지원자격, 2025년 최신 기준은 무엇인가요?

LH임대지원자격

2025년 LH 임대 지원 자격은 ① 무주택세대 구성원, ②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100% 이하(유형별 차등), ③ 총자산 3억3,700만 원 · 자동차 3,803만 원 이하를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LH 임대주택 종류별 지원자격 한눈에 보기

아래 표는 국민임대·전세임대·청년·신혼부부 유형별 주요 기준을 비교한 것입니다.

2025년 LH 임대주택 유형별 핵심 자격
구분공통소득 기준자산 · 자동차비고
국민임대무주택세대전용 60㎡ ≤ 70%
전용 60㎡ 초과 100%
총자산 3억3,700만
車 3,803만 이하
우선공급 50%
전세임대70%(신혼Ⅰ) / 100%(신혼Ⅱ)동일보증금 5~20% 납부
청년60% 이하(일부 80%)총자산 2억5,400만
車 3,803만 이하
만 19 ~ 39세
신혼부부70%(맞벌이 90%)총자산 3억3,700만
車 3,803만 이하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

공통 자격 조건 – ‘4대 필터’를 통과해야 합니다

LH 임대주택은 유형이 달라도 아래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최종 자격이 인정됩니다.

  1. 무주택세대 확인 – 모집공고일 기준 세대 전원이 주택 미보유.
  2. 소득 기준 충족 –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70% 또는 100% 이하.
    예) 4인 가구 100%≈8,578,088원 → 70%≈6,004,662원
  3. 총자산 · 자동차 가액 – 총자산 3억3,700만 원 · 자동차 3,803만 원 이하
  4. 신청 유형별 추가 요건 – 청년은 연령, 신혼부부는 혼인 기간 등.

소득 기준 계산법 – ‘70% 컷’ 쉽게 구하기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100%)에서 해당 퍼센트를 곱하면 됩니다. 2025년 적용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별 2025년 월소득(100% · 70%)
가구원100%70%
1인3,598,7152,518,715
2인5,477,0033,833,902
3인7,626,9735,338,881
4인8,578,0886,004,662
5인9,031,0486,321,734
6인9,733,0866,813,160

매년 3 ~ 4월 통계청 발표에 따라 수치가 변동될 수 있으니, 모집공고에서 최종 금액을 확인하세요.

LH 임대주택 신청 절차 – 5단계로 진행

홈페이지 청약플러스에서 모든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1. 모집공고 확인 및 유형 선택
  2. 온라인 청약서 작성 · 제출
  3. 소득 · 자산 검증(관계기관 자동 조회)
  4. 당첨자 발표 및 계약 안내
  5. 계약 체결 후 입주(전세임대는 전세 계약 후 지원금 지급)

지원 시 주의사항 & 탈락 사유

자격 충족 후에도 아래 항목에 걸리면 탈락할 수 있습니다.

  • 최근 5년 내 부적격 · 계약포기 이력
  • 분양전환주택 거주 중 재신청
  • 소득 · 자산 허위 제출(적발 시 3년간 신청 제한)
  • 자동차 가액 산정 시 보조금 차감액 누락

핵심 요약

  • 무주택 + 소득 70 ~ 100% + 총자산 3.37억 + 자동차 3,803만 이하
  • 청년·신혼 등 계층별 추가 요건 필수 확인
  • 소득 및 자산 금액은 매년 변동, 모집공고 재확인
  • 온라인 청약 → 소득검증 → 계약 → 입주 순

FAQ

Q1. 소득이 없는 청년도 신청할 수 있나요?
A1. 가능하지만 세대원 합산 소득이 60%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

Q2. 자동차 가액 4,000만 원 넘는데 할인 차량이면 괜찮나요?
A2. 보조금을 차감한 순가액이 3,803만 원 이하면 인정됩니다.

Q3. 신혼부부Ⅱ는 왜 소득 100%까지 허용되나요?
A3. 육아 부담 · 맞벌이 고려해 완화된 기준을 적용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프로필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