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민임대주택 주요 변경 요약 (2025년 7월 기준)
항목 | 변경 내용 | 시행 시점 |
---|---|---|
소득 기준 | 도시근로자 평균 소득 70% 기준 유지 (상향 없음) | 2025년 1월 |
자산 기준 | 총자산 3.29억 원 / 자동차 3,557만 원 → 동일 유지 | 2025년 1월 |
신청 방식 | 모바일 청약 UI 개편 (기기 호환성 개선) | 2025년 5월 |
공고 시스템 | 공급 공고 ‘관심 단지 등록’ 기능 도입 | 2025년 6월 |
입주자 우선 기준 | 65세 이상 고령자 우선공급 확대 → 일부 단지 적용 | 2025년 6월 |
📌 위 정보는 LH청약플러스 및 국토부 보도자료 기준 정리됨
2025년 하반기 청약 주요 일정 (예정)
지역 | 공고 예상 시기 | 입주 예정 |
---|---|---|
하남 감일 A-7 | 2025년 8월 | 2026년 상반기 |
고양 창릉지구 | 2025년 9~10월 | 2026년 하반기 |
대구 연경지구 | 2025년 7월 | 2026년 초 |
부산 명지3지구 | 2025년 9월 | 2026년 중반 |
💡 공고문 기준으로 공급세대 수, 면적, 임대조건 다름 → 청약 전 개별 확인 필수
변경 없는 기준 항목 (2025년 현재 유지)
-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70% 이하
-
자산 기준: 총자산 3.29억 원 이하 / 자동차 시가 3,557만 원 이하
-
무주택 요건: 세대 전원 무주택 필수
-
청약저축 가입 필수: 순위 산정 기준으로 여전히 반영
신청 일정 확인하는 가장 빠른 방법
-
지역별 공급일정 알림 설정 가능 (카카오톡 알림톡 또는 이메일)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소득 기준은 매년 자동으로 바뀌나요?
→ 기준 자체(70%)는 고정되며, 도시근로자 평균 소득 수치가 매년 1월 업데이트됨
Q2. 2025년 하반기 신규 공급은 어디가 있나요?
→ 고양 창릉, 부천 대장, 창원 명곡, 울산 이예 등 예정
Q3. 중간에 소득이 늘어나면 퇴거해야 하나요?
→ 임대계약 갱신 시 재검토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자동 퇴거는 아님 (자격 심사 재진행)
업데이트 알림 받는 방법
📌 특히 고령자·다자녀·한부모 가구는 지자체 자체 모집 공고도 확인 필요
-
[처음으로 돌아가기] → [국민임대주택 총정리: 자격부터 신청까지 한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