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임대주택 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얼마일까?

영구임대주택은 정말 저렴할까요?

네, 정말 저렴합니다.
영구임대주택의 임대료는 시세의 약 30% 수준으로,
저소득 가구가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공주택입니다.

📌 기준: 국토교통부 · LH 임대주택 운영 지침

궁금한 글 먼저 읽기
1편 : 영구임대주택 조건 총정리
2편 : 영구임대주택 신청 자격 이렇게 확인하세요
3편 : 영구임대주택 신청 절차, 단계별로 정리했어요
4편 : 고령자·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임대주택 안내
5편 : 영구임대주택 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얼마일까?
6편 : 서울·경기지역 영구임대주택 공급 위치 모음
7편 :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 차이점 비교
8편 : 2025년 영구임대주택 모집공고 최신 일정

보증금은 얼마인가요?

공급 평형보증금 (서울 기준)
26㎡ (약 8평)약 500~600만 원
36㎡ (약 11평)약 700~900만 원
46㎡ (약 14평)약 1,000만 원 전후
  • 일부 지자체에 따라 보증금이 200만 원대로 책정되기도 합니다.

  • 최초 입주 시 전액 납부, 추후 일부 전환 가능.

월 임대료는 얼마나 나오나요?

공급 평형월 임대료 (서울 기준)
26㎡약 10~15만 원
36㎡약 15~20만 원
46㎡약 20~25만 원
  • 전용면적과 지역에 따라 차이 있음

  • 관리비 별도 (난방, 수도, 전기 등 실비 정산)

💡 팁: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50% 이하 기준 가구에게는 부담이 적은 구조

시세와 비교하면 얼마나 저렴한가요?

항목민간 월세영구임대
26㎡ 보증금약 2,000만 원500만 원
26㎡ 월세약 40만 원13만 원

보증금은 1/4, 월세는 1/3 이하 수준입니다.
특히 장기거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월세 누적 부담이 확 줄어듭니다.

임대료 납부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 매월 지정일 자동이체 또는 지로 납부

  • 보증금 일부 전환 가능: 월세 부담이 크면 일부 보증금 인상으로 월세 인하 가능

  • 연체 시 연체이자 부과 및 계약 해지 사유가 될 수 있음

FAQ

Q1. 보증금이 너무 부담되는데 분할 납부 가능한가요?
A. 일부 단지에서는 자활기금 연계 지원이나 전환보증금 제도를 안내하기도 합니다.

Q2. 임대료는 매년 오르나요?
A. 통상적으로 임대료 조정은 2년마다 계약 갱신 시 반영됩니다.
다만, 최근 몇 년은 임대료 동결 사례도 많습니다.

Q3. 보증금 돌려받을 수 있나요?
A. 퇴거 시 하자·연체가 없다면 전액 환급됩니다.


보증금과 월세, 부담되지 않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

🔗 LH 보증금·임대료 기준표 보기
📘 다음 글 보기: 서울·경기지역 영구임대주택 공급 위치 모음

신고하기

이 블로그 검색

태그